한/글에서 DBF 파일 불러오는 방법 총정리

Q. 한/글에서도 DBF 파일을 열 수 있나요?

A. 네, 가능합니다. 한/글은 일반 문서뿐만 아니라 .dbf 형식의 데이터베이스 파일도 지원합니다.


Q. DBF 파일을 한/글에서 어떻게 불러오나요?
A. 아래 순서대로 따라 하시면 됩니다.

  1. 상단 메뉴에서 [파일 - 불러오기]를 클릭합니다.

  2. [불러오기] 대화 상자에서 [파일 형식] 항목을 ‘데이터베이스 문서(*.dbf)’로 설정합니다.

  3. [찾는 위치]에서 원하는 폴더를 선택하면 DBF 파일만 표시됩니다.

  4. 불러올 파일을 선택하고 [열기]를 누릅니다.

  5. [DBF 파일 읽기] 대화 상자에서 문자 코드를 ‘한국(KSSM)’으로 설정하고 [읽기]를 누르면 문서로 열립니다.


Q. DBF 파일은 어떤 방식으로 읽을 수 있나요?
A. 두 가지 방식 중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  • 표로 읽기: DBF의 필드를 표의 칸으로, 레코드를 표의 줄로 변환합니다.

  • 텍스트 형식으로 읽기: 일반 텍스트 형태로 읽어옵니다.


Q. DBF 파일의 일부만 읽을 수도 있나요?
A. 네. 전체 레코드를 읽거나, 레코드 범위를 지정해 선택적으로 읽을 수 있습니다.


Q. 문자 코드 선택은 왜 중요하죠?
A. 문자 인코딩이 잘못되면 글자가 깨질 수 있기 때문에, DBF 파일의 저장 방식에 맞는 인코딩을 정확히 선택해야 합니다.


Q. 선택할 수 있는 문자 인코딩은 어떤 것들이 있나요?
A. 다음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.

  • 한국(KS): 일부 한글만 표현 가능 (2,350자)

  • 한국(KSSM): 모든 현대 한글 표현 가능 (11,172자)

  • 일본(SJIS): 일본어 인코딩

  • 간체(GB): 중국 간체자 인코딩

  • 번체(Big5): 대만 번체자 인코딩


Q. 텍스트 형식으로 읽을 때 추가 설정은 어떤 게 있나요?
A. 다음 두 가지 기능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.

  • 레코드 번호 붙이기: 각 레코드 앞에 번호를 붙여 쉽게 구분할 수 있습니다.

  • 필드 오른쪽 공백 없애기: 불필요한 빈칸을 제거해 문서를 간결하게 합니다.

댓글 쓰기

Designed by OddThemes | Distributed by Gooyaabi